목록JaveScript (10)
AI기록장
JavaScript Clock : setInterval, setTimeout ‣setInterval : setInterval 고정된 시간(ms) 지연으로 함수를 반복적으로 호출하거나 코드 스니펫을 실행한다. : setInterval은 두개의 인자를 받는다. 첫번째 인자는 내가 실행하고자 하는 함수를 받는다. 두번째는 내가 호출하는 함수를 몇 ms 간격으로 설정할건지 넣어주면 된다. ‣setTimeout : 일정 시간(ms)이 지난 후 함수 실행한다. : setTimeout은 setInterval과 비슷한 문법을 가지고있지만, setTimeout은 내가 실행시키고 싶은 함수를 얼마나 뒤에 실행시키고 싶은지를 출력한다. 문법은 setInterval과 동일 function sayHello () { consol..
JavaScript Truthy & Falsey : 자바스크립트에는 boolean속성을 넣지 않아도 참과 거짓 속성을 반환하는 경우가 있음 이는, 자바스크립트가 자신만의 어떠한 특정한 기준으로 값을 참과 거짓으로 분류하는 것 (Truthy & Falsey는 조건문을 이용하거나 특정 조건으로 식을 실행할 때 유용함) Truthy let a = //[], 23(숫자),"0"(문자열),"false"(문자열),Infinity //전부 True를 반환함 if(a){ console.log("True"); } else{ console.log("False"); } Falsey let b = //null,undefined,0,-0,"",NaN //전부 Falsey를 반환 if(a){ console.log("True");..
JavaScript Function : 함수 console.log(helloB()); let helloA = function(){ return "안녕하세요 여러분"; }; // 함수 표현식 console.log(helloA()); function helloB() { return "안녕하세여 여러분"; }; // 함수 선언식 helloB()와 같이 함수 선언식 같은 경우는 내가 함수를 언제 선언했는가에 관계없이 보다 유연하게 접근가능하다. 함수가 선언보다 함수를 부르는 문장이 더 위에 있어도 이 함수를 호이스팅이라는 방식으로 호출해준다. 반대로, helloA()와 같은 함수 선언식은 '함수 표현식' 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함수가 선언된 위치가 이 함수를 호출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활을한다..
JavaScript String : 문자열 ▸.length : 문자열 길이 문자열 같은 경우는 length를 이용해서 길이를 반환할 수 있다! let desc = '안녕하세요' console.log(desc.length); // 5 ▸특정 위치에 접근 가능 문자열은 특정 위치에 접근은 가능하지만, 배열과 다르게 특정 위치로 접근하여 수정 불가 let desc = '안녕하세요' console.log(desc[2]); // 하 ▸.toUpperCase() / toLowerCase() let desc = 'hi, guys , Nice to meet You' ; desc.toUpperCase(); // 전부 다 대문자로 출력 desc.toLowerCase(); // 전부 다 소문자로 출력 ▸.indexOf(te..
JavaScript Symbol : 유일한 식별자 const a = Symbol(); // new를 붙이지 않음 const b = Symbol(); console.log(a) // Symbol() console.log(b) // Symbol() // a===b(false) , a==b(false) Symbol은 어디에 쓰는가? :특정 객체의 원래 데이터는 건들이지 않고, 속성을 추가할때 사용한다! Property key Symbol const id = Symbol('Id'); const user = { name : 'Mike', age : 30, [id] : 'myid' } console.log(user); // {name : 'Mike', age..
JavaScript 변수 : variable 변수 선언 const : 선언된 변수의 값을 변경 x var : 한번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음 let : var선언과 비슷하지만, let으로 선언된 변수는 재 선언이 안됨 //let과 const는 TD2의 영향을 받아 코드를 예측 가능하게하고 잠재적 버그를 방지할 수 있음 [var] // var같은 경우 중복 선언 가능 var name = 'Mike'; console.log(name); //Mike var name = 'Jane'; console.log(name);//Jane // var 같은 경우는 선언 위치에 관계 없이 호스팅된다 var name; console.log(name); //Mike출력 ,할당 상태는 und..
Login : event logic , preventDefault() event.preventDefault(); preventDefault()는 브라우저가 기본 동작을 실행하지 못하게 막는 실행문 :만약 이벤트를 사용할때 preventDefault()를 해주지 않으면, 브라우저가 새로고침되어 값이 사라지게 되고,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click ,button 등 이벤트를 받아 어떤 함수를 실행할 때는 중요하다 즉, 이벤트 흐름의 어떤 단계에서라도 preventDefault()를 호출하면 이벤트를 취소한다. 이는 ,이벤트에 대한 구현체의 기본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것 [Main_HTML] Log In [App.Js] const loginForm = document.querySelector("#l..
Javascript와 HTML 상호작용 :JavaScript에서 HTML을 불러올 수도 있고, JavaScript에서 수정도 할 수 있음 document.title = "change tilte"; // title이 change tilte로 바뀜 const any = document.getElementById("id이름"); // html에서 해당 id값을 가진 태그를 가져옴 any.innerText = "Hello~~"; // 태그 안에 text가 바뀜 즉, Js안에서, html을 수정함. const classNames = document.getElementsByClassName("class이름"); // html에서 해당 class를 가진 태그를 모두 가져옴(배열의 형태) // 여기서 id와 class..